22년 각종 지원사업 선정, 탈락 후기를 공유합니다.
R 기본 함수, ggplot2 패키지, ggpubr 패키지를 활용해 의학논문에 필요한 그래프를 만들어보자.
제18차 대한이식학회 춘계학술대회 심포지엄에서 "리뷰어들을 위한 의학통계" 로 발표할 슬라이드를 미리 공유합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산 처리 시스템 없이 처리할 수 있는 data.table 데이터 구조와 이를 조작,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data.table 패키지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Docker와 Traefik을 활용한 Reverse-Proxy 구현
효율적으로 의학 연구 논문에 들어갈 table1을 만들 수 있는 tableone 패키지에 대해 소개합니다.
데이터 셋의 변수를 하나의 테이블로 요약하여 효율적으로 논문에 들어갈 table1을 만들 수 있는 gtsummary 패키지에 대해 소개합니다.
성균관의대 "의사의 길" 학부 강의에서 창업 경험을 의대생들과 공유할 예정입니다. 발표 슬라이드를 미리 공유합니다.
MySQL 기반 DockerContainer에서 GitHub-Repository로의 주기적인 DB 백업 구현
숭실대학교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인턴으로 활동하게 된 차라투에서 1주차 동안 학습한 내용에 대해 공유합니다.
Notion과 Oopy를 사용해 개편한 [당사 홈페이지](https://www.zarathu.com)의 구축 논의 사항과 장·단점을 설명하였습니다.
4월에 이어 삼성서울병원 심혈관중재실에 서비스중인 shiny 환자데이터 입력웹을 소개합니다. 본 내용은 차라투가 후원하는 Shinykorea 10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Zarathu 앱에 적용할 예정인 구글 로그인에 대해 소개합니다.
R 활용 웹기반으로 공공빅데이터 분석지원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본 내용은 "대한상부위장관 · 헬리코박터학회 주관 2021 위원회 워크숍" 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R 활용 의학연구지원경험을 공유합니다. 본 내용은 "Be a data scientist - major actor in the future research" 라는 제목으로 사단법인 헬리코박터 마이크로바이옴 연구회 워크숍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Follow up assignment of ShinyProxy lecture
지금까지 창업지원사업 도전했던 경험을 공유합니다. 본 내용은 차라투가 후원하는 Shinykorea 7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최근 Zarathu 공식 홈페이지에 추가한 channel.io 서비스 관련 적용 후기입니다.
삼성서울병원 심혈관중재실과 개발 중인 shiny 환자데이티 입력웹 개발 현황을 공유합니다. 본 내용은 Zarathu가 후원하는 Shinykorea 4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서울시 감염병연구센터 자문으로 코로나 수리모델링을 수행한 경험을 정리했습니다. 본 내용은 2월 Shinykorea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Kaplan-meier curve, 비례위험가정 확인, Time-dependent analysis 그리고 모수적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R 코드를 정리했습니다. 본 내용은 성균관의대 사회의학교실 특강에서 실습할 예정입니다.
RStudio와 Shiny-server 가 포함된 Docker image 이용, 새로 서버 구축할 때마다 재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없앴습니다. 본 내용은 Shinykorea 10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차라투 업무 소개입니다. 본 내용은 영남대학교 "의사과학자 역량 배가 프로젝트" 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메타분석 ShinyApps 만든 후기를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Shinykorea 8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의학 연구에서 사용하는 선형/로지스틱 회귀분석과 Cox 비례위험모형을 소개합니다. 본 내용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육에 이용될 예정입니다.
의학 연구에서 Table 1 에 활용되는 기술통계를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육에 이용될 예정입니다.
올해 만들었던 ShinyApps 를 간단히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6월 shinykorea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 연산자와 dplyr 패키지를 중심으로, 최근 R 문법 트렌드인 tidyverse 스타일을 정리했습니다. 본 슬라이드는 서울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선생님들의 교육에 쓰일 예정입니다.
R 기본 문법과, 보험공단 샘플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매니지먼트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서울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선생님들의 교육에 쓰일 예정입니다.
일본 R 밋업 중 하나인 TokyoR 중 shiny 특집을 리뷰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차라투가 후원하는 Shinykorea 3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R과 shiny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든 경험을 소개합니다. 본 내용은 디시인사이드가 후원하는 프로그래밍 갤러리 컨퍼런스 2020 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RSelenium 으로 웹크롤링을 하면서 얻은 팁을 공유합니다. 본 내용은 Zarathu가 후원하는 Shinykorea 1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의료데이터 분석가가 되기까지의 경험을 슬라이드로 공유합니다. 본 내용은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세미나에서 발표할 예정으로, 초청해주신 김진식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Shiny 기초학습을 위한 강의 슬라이드와 실습파일입니다. 본 내용은 "서울IT직업전문학교 빅데이터 사이언스 실무자 양성과정" 에서 쓰일 예정입니다.
맞춤형 의학연구 앱을 만들고, 그것을 패키지로 만들어 CRAN에 배포한 경험을 슬라이드로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R User Conference in Korea 2019(RUCK 2019)에서 발표하였습니다.
R을 이용, 공단/심평원 빅데이터와 국건영 자료를 분석한 경험을 슬라이드로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을지의대 학술원 특강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Shiny 의 로그인 기능 추가방법을 리뷰하고, useR! 2019 에서 소개된 shinymanager 패키지 사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Zarathu가 후원하는 Shinykorea 9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전 글 "선형모형의 다차원공간으로의 확장" 의 추가 제안으로, 선형모형의 무대를 허수축(Imaginary Axis)을 포함한 휘어진 다차원공간으로 확장, Inverted U-shape 관계를 선형관계로 재해석하였습니다.
괴델(Kurt Gödel)의 불완전성 정리가 나온 배경을 소개하고 증명의 핵심 아이디어를 수학과 메타수학(meta-mathematics), 괴델수(Gödel number), 그리고 메타수학의 수학화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산업·직무 특화 전문가 특강" 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의학연구를 지원하면서 다양하게 R을 활용했던 경험을 슬라이드로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을지의과대학교 5월 EMBRI 세미나와 CRScube 6월 세미나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Shiny와 R Markdown을 활용, 의학연구를 지원했던 경험을 슬라이드로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차라투(주)가 후원하는 Shinykorea 5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법인 설립 후 세무기장 앱 머니핀(MoneyPin)을 활용, 직접 세무/회계를 처리하였습니다. 3월말 법인세까지 납부하면서 한 사이클을 경험했다고 생각하여 후기를 공유합니다.
개인 PC에서 직접 ShinyApps를 이용할 수 있도록, RStudio Addins을 포함한 R 패키지를 만들어 CRAN에 배포신청했으나 실패한 경험을 정리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Anpanman이 후원하는 Shinykorea 2월 밋업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성균관의대 사회의학교실 주관 가습기 살균제 연구 세미나에 참석, 자기 자신을 대조군으로 이용하는 연구 방법론 중 하나인 self-controlled case series (SCCS)를 리뷰하고 R로 실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강의 슬라이드를 미리 공유합니다.
YAML Header, 마크다운(Markdown) 텍스트, R 코드 청크(chunk) 그리고 그림과 테이블을 중심으로, R 코드와 분석 결과가 포함된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파일을 읽는 readr,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드는 %>% 연산자, 데이터를 다루는 dplyr 그리고 반복문을 다루는 purrr 패키지를 중심으로 tidyverse 생태계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성균관의대 "의사의 길" 학부 강의에서 진료실 밖 의사로서의 경험을 의대생들과 공유할 예정입니다. 발표 슬라이드를 미리 공유합니다.
중앙보훈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강의한 내용으로, 의학 연구에 필요한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정리하고 웹 애플리케이션과 Rstudio Addins을 이용하여 실습하였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태양 근처에서 빛이 휘어지는 현상을 빛이 아닌 시공간이 휘어지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비슷한 아이디어를 통계학에 적용하여 U-shape 관계를 휘어진 다차원 공간에서의 선형모형으로 재해석하였습니다.
유전율(heritability)은 어떤 형질의 유전적인 측면을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유용한 지표이나 이분형 형질의 경우 해석이 어렵습니다. 이 때는 Sibling recurrence risk가 직관적인 지표이나, 유병률 정보가 필요하고 다른 변수의 보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흔히 쓰는 OR scale을 이용, 이분형 변수에서 직관적이고 다른 변수의 보정도 가능한 유전율 지표를 제안합니다.
P value의 가장 큰 문제는 샘플 숫자만 늘리면 아무리 작은 차이라도 유의미한 결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차이가 정확히 0이라는 비현실적인 귀무가설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인데, 실제 차이가 정확히 0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 아무도 주장하지 않는 것을 반박해 봐야 유용한 결론을 얻지 못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귀무가설에 uncertainty 개념을 추가하여 가설검정방법을 재정의하였습니다.
R User Conference in Korea 2018(RUCK 2018)에서 발표했던 내용입니다.
Welcome to Anpanman!
If you see mistakes or want to suggest changes, please create an issue on the source repository.
Text and figures ar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C BY 4.0. Source code is available at https://github.com/zarathucorp/blog, unless otherwise noted. The figures that have been reused from other sources don't fall under this license and can be recognized by a note in their caption: "Figure from ...".
© Copyright 2019 Zarathu Co.,Ltd.
Software licensed under the MIT License.